2022. 9. 9. 09:00ㆍ카테고리 없음

# 나노포어 시퀀싱으로 종양의 후성적 이질성을 확인할 수 있을까
그동안 나노포어 시퀀싱은 시퀀싱 과학의 차세대 기술로 발전했다.
특히 기공의 효율성, DNA 전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신호 대 잡음비 향상, 긴 판독 (long read) 범위로 확장시키고자 하는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후성유전학에 관한 이질성은 후성유전체의 돌연변이가 광범위할 것이기에 암 연구에서 새로운 도전이 될 것이다.
DNA 메틸화와 히스톤 변형을 촉매하는 후성유전적 효소는 암세포에서 조절이 잘 되지 않아 수많은 이질적인 클론이 진화하게 된다. 이 클론에서 이질성을 탐지하는 것은 다양한 암 유형의 치료에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할 것이다.
단일 세포 프로파일링을 통해 나노포어 시퀀싱 기술은 긴 판독에서 간단한 시퀀스를 확보할 수 있으며
곧 병상이나 진료실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리뷰 논문에서 나노포어 시퀀싱의 발전과 암의 후성 유전적 이질성 검출에 대한 사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참조문헌: Clin Epigenetics. 2022; 14: 107.
관련글
https://m.blog.naver.com/2car2/222706023226
[오늘 이 기술] 나노포어 시퀀싱
현재 다양한 #시퀀싱 기술이 생명과학 분자생물학 뿐만 아니라 의학에 사용되고 있다. #COVID-19과 같...
blog.naver.com
2022.09.07 - [분류 전체보기] - [논문 맛보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TSD 발현 분석
[논문 맛보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TSD 발현 분석
# 나노포어 시퀀싱 기술로 PTSD 과정에서 성별 특이적인 전사체와 에피전사체의 특징들을 발견하다 이 논문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대 뇌 정신 센터 Anand Gururajan 연구진의 연구 결과이다.
nv2ngn.tistory.com
2022.11.10 - [분류 전체보기] - [논문 맛보기] 대장암의 전이성 재발은 잔류 EMP1+ 세포에서
[논문 맛보기] 대장암의 전이성 재발은 잔류 EMP1+ 세포에서
# 대장암의 전이성 재발은 잔류 EMP1+ 세포에서 비롯된다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과학 기술 연구소 Adrià Cañellas-Socias 연구진이 규명한 내용이다. 원발성 종양의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결장직장암(CR
nv2ngn.tistory.com
2022.12.06 - [분류 전체보기] - [논문 맛보기] PD-L1-PD-1 차단으로 노화 감시 및 노화 개선
[논문 맛보기] PD-L1-PD-1 차단으로 노화 감시 및 노화 개선
# PD-L1-PD-1 차단으로 노화 감시 및 노화 개선 노화 세포의 축적은 노화 관련 염증의 주요 원인이며 다양한 노화 관련 질병의 소인이 된다. 그러나 축적의 근간이 되는 분자 기반과 노화 과정을 개
nv2ng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