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사전]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 원인과 치료 및 관련 연구 마우스 모델

2025. 6. 5. 21:21카테고리 없음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NV2NGN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는 피부가 특정 물질에 반복적으로 접촉하면서 면역 반응을 일으켜 염증과 발진이 생기는 지연성 과민반응(type IV hypersensitivity)입니다.

이는 면역 체계가 알레르기 유발 물질(hapten)을 항원으로 오인하고 과도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원인입니다.

ACD는 아토피 피부염과는 달리, 처음에는 증상이 없지만 반복 노출 시 과민 반응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ACD의 주요 원인(Allergens)
- 니켈(Nickel): 귀걸이, 시계, 벨트 버클 등 금속류에서 흔히 발견
- 향료(Fragrances) 및 보존제(Preservatives): 화장품, 로션, 샴푸 등
- 고무(라텍스 Latex) 및 염료(Dyes): 장갑, 옷, 염색 제품 등
- 식물(예: 옻나무, poison ivy)
- 약물(예: 네오마이신)
- 직업적 노출 물질: 미용사, 의료 종사자, 금속 가공업 종사자 등에서 흔함

ACD의 증상(Symptoms)
- 접촉 부위의 홍반(붉은 반점), 가려움증(itching), 수포(작은 물집)
- 심한 경우 딱지(crusting), 벗겨짐, 피부 두꺼워짐(lichenification)
- 증상은 일반적으로 노출 24~72시간 후에 시작되어 수일간 지속됨

진단과 치료(Treatment)
- 진단
Patch test(첩포 검사): 특정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민감도를 확인하는 표준 진단법

- 치료
1) 원인 물질 회피: 가장 중요한 1차적 치료
2) 국소 스테로이드 크림: 염증 및 가려움증 완화
3) 항히스타민제: 간접적인 가려움 완화
4) 심한 경우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
5) 보습제: 피부 장벽 강화
6) 광선치료(PUVA 등): 만성 ACD에서 사용

ACD 연구와 마우스 모델(Mouse Models of ACD)
실험실에서는 ACD의 발병 메커니즘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마우스 모델이 널리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실험 모델은 DNFB(dinitrofluorobenzene) 또는 oxazolone과 같은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합니다.
1) 1차 감작(Sensitization): 마우스 귀나 등 피부에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바름
2) 반복노출(Challenge): 일정 시간 후 같은 부위에 반복 노출하여 염증 반응 유도
3) 면역 반응 분석: 조직 염색, 사이토카인 분석(예: IFN-γ, IL-17), T세포 활성 측정 등

이 모델은 Th1/Th17 면역반응, Treg 조절, 피부 장벽 단백질 연구에 매우 유용하며, 최근에는 면역억제제, 식물 추출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의 전임상 평가에도 널리 사용됩니다.

ACD는 피부와 면역 시스템 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정확한 접촉 이력과 첩포 검사가 필수이며,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원인 물질 회피입니다.

ACD는 단순한 피부 질환을 넘어 면역 반응 조절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에 중요한 질병 모델로 활용되고 있으며, 마우스 모델을 통한 면역학적 기전 연구는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관련 논문을 살펴보겠습니다.

 

 

 

Probiotic Administration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Intestinal Dysregulation Induced by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Pub

Recent studies have emphasized the impact of gut microbiota on skin health, but the reverse, how skin diseases affect gut homeostasis, has received less attenti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 a common skin disorder affecting one in four people world

pubmed.ncbi.nlm.nih.gov

 

프로바이오틱스 투여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으로 인한 장내 조절 장애 개선에 기여합니다(Probiotic Administration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Intestinal Dysregulation Induced by Allergic Contact Dermatitis). Microorganisms. 2025 May 7;13(5):1082. 

 

 

최근 연구들은 장내 미생물총이 피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해 왔지만, 반대로 피부 질환이 장 항상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전 세계 4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흔한 피부 질환인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ACD)은 장 기능 장애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ACD 실험 모델을 사용하여 이 질환으로 유발되는 장내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평가 대상에는 장내 미생물총, 단쇄 지방산(SCFA), 장 투과성 관련 유전자 발현, 염증성 사이토카인, 점액 생성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잠재적인 치료적 개입을 평가하기 위해, 프로바이오틱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 BB536을 피부염 유발 10일 전부터 질병 유발 마지막 날까지 위관영양법으로 투여했습니다. 

 

ACD는 비투여 마우스에 비해 장내 미생물총의 구성을 변화시켰지만, SCFA 생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이 프로바이오틱스는 피부염 유발 마우스에서 미생물총 구성을 변화시키고 아세트산 생성을 증가시켰습니다. ACD는 TjP1, ATHO1, MUC2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켰지만, 프로바이오틱스 투여는 TjP1과 ATHO1을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켰습니다. 사이토카인 IL-6는 ACD군에서 비투여 마우스에 비해 증가한 반면, IL-10은 감소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 투여는 이러한 수치를 회복시켰습니다. ACD에 의해 영향을 받은 장 점액 생성은 프로바이오틱스 투여로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바이오틱스가 피부 질환으로 인한 장 문제를 예방하는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본 논문 요약 링크입니다.

 

 

 

 

 

 

2025.06.04 - [분류 전체보기] - [궁금관계] 수면과 구강미생물의 관계

 

[궁금관계] 수면과 구강미생물의 관계

안녕하세요?NV2NGN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면과 구강미생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수면과 구강미생물(Oral Microbiome)의 연관성: 건강한 수면이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최근 연구에 따르

nv2ngn.tistory.com

2025.06.03 - [분류 전체보기] - [궁금사전] 구강미생물 불균형(Oral microbiota dysbiosis)의 개념 및 질병과의 연관성

 

[궁금사전] 구강미생물 불균형(Oral microbiota dysbiosis)의 개념 및 질병과의 연관성

안녕하세요?NV2NGN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강미생물 불균형(Oral microbiota dysbiosis)의 개념 및 질병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Oral microbiota dysbiosis란 구강 내 미생물 군집(oral microbiome)의 균

nv2ng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