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사전] 구충제 및 항생제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2025. 5. 25. 21:09카테고리 없음

728x90
반응형

출처: pixabay

 

 

안녕하세요?

 

NV2NGN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충제 혹은 항생제가 장 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구충제란?


구충제는 기생충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약물로, 주로 인체나 동물의 장이나 조직에 기생하는 회충, 편충, 촌충, 요충, 흡충 등의 기생충을 대상으로 합니다. 작용 방식은 기생충의 신경이나 대사 시스템을 마비시키거나 손상시켜 사멸 또는 배출되도록 유도합니다. 구충제는 알벤다졸, 메벤다졸, 프라지콴텔 등이 대표적이며, 보통 특정 기생충에 맞춰 사용됩니다. 

바이러스나 세균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항생제란?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로, 세균의 세포벽 합성 억제, 단백질 생성 방해, DNA 복제 억제 등을 통해 세균의 성장을 멈추거나 사멸시킵니다.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테트라사이클린 등이 대표적입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 감염(예: 감기)에는 효과가 없으며, 기생충에도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오·남용 시 내성균이 생길 수 있어 신중한 사용이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이들 약물이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기전을 살펴보겠습니다.

 

 

구충제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


구충제는 주로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장 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항생제에 비해 비교적 적습니다. 

그러나 일부 구충제는 장내 미생물 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알벤다졸(albendazole)이나 메벤다졸(mebendazole) 같은 약물은 기생충을 직접 공격하면서 이들이 점유하고 있던 생태적 공간을 비우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장내 환경의 균형이 일부 변화할 수 있으며, 특정 미생물 군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간접적인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구충제가 장내 세균의 대사활동을 억제하거나 소화효소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구충제는 항생제처럼 장내 미생물을 대량으로 사멸시키는 강한 작용은 하지 않으며, 그 영향은 제한적이고 일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항생제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


반면에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거나 성장 억제하는 약물로, 장내 미생물군에 직접적이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칩니다.

페니실린계, 퀴놀론계, 테트라사이클린계 등 다양한 항생제는 각각 특정 기전을 통해 세균을 표적으로 삼습니다.

예를 들어, β-lactam계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고, 매크롤라이드나 테트라사이클린은 리보솜 단백질 합성을 방해합니다.


항생제는 병원균뿐만 아니라 유익균도 함께 제거할 수 있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다양성과 균형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그 결과,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Clostridium difficile) 같은 기회감염균이 과도하게 증식해 장염을 유발하거나, 면역 기능 저하, 대사 장애, 장내 염증 증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항생제는 투여 후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생제 사용 시에는 필요 최소한으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 프로바이오틱스나 프리바이오틱스 보충이 권장되기도 합니다.

 

 

구충제 및 항생제 복용 후 장내 미생물 회복 기간은?

 

구충제와 항생제 섭취 후 장 내 미생물 군집의 회복 기간은 다를 수 있습니다. 두 약물 모두 장 내 미생물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작용 방식과 영향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1. 구충제: 앞선 설명에서처럼 구충제는 주로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장 내 미생물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항생제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구충제의 영향은 일반적으로 단기적이며, 장 내 미생물 군집은 비교적 빠르게 회복될 수 있습니다. 회복 기간은 보통 2주에서 4주 정도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2. 항생제: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장 내 유익한 세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항생제는 미생물 다양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회복에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항생제 사용 후 장 내 미생물 군집이 완전히 회복되는 데는 몇 주에서 몇 달이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생제 섭취 후 장 내 미생물의 회복 기간이 구충제 섭취 후보다 더 길고 복잡할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항생제 사용 후에는 프로바이오틱스나 프리바이오틱스를 통해 장 건강을 지원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조금 색다른 논문을 살펴 보겠습니다.

 

https://pubmed.ncbi.nlm.nih.gov/39916482/

 

Helminths in alternative therapeutic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 PubM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which includes Crohn's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is a nonspecific chronic inflamm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Despite recent advances in therapeutics and newer management strategies, IBD largely remains untre

pubmed.ncbi.nlm.nih.gov

 

염증성 장 질환의 대체 치료법에서의 선충류(Helminths in alternative therapeutic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위장관의 비특이적 만성 염증입니다. 최근 치료법과 새로운 관리 전략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IBD는 여전히 대부분 치료가 불가능합니다. 기생충 요법(Helminth therapy)은 지난 20년 동안 주목을 받아온 IBD에 대한 유망한 대안 치료법입니다. 기생충은 면역 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장내 미생물총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면역 조절 효과에는 강력한 Th2 면역 반응, T-조절 세포 반응, 그리고 조절 사이토카인 생성이 포함됩니다. IBD에서 기생충 요법의 효능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는 부족하지만, 임상 연구와 동물 모델 연구에서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의 임상 연구에서 기생충 요법은 안전하고 쉽게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편충 트리쿠리스(Trichuris)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주혈흡충(Schistosoma), 선모충(Trichinella), 헬리그모소모이데스(Heligmosomoides), 안실로스토마(Ancylostoma)를 포함한 다른 기생충에 대한 전임상 및 동물 연구도 수행되었습니다.

본 리뷰 논문은 염증성 장 질환(IBD) 치료를 위한 기존 치료법의 대체 요법 또는 보조 요법으로서 기생충 치료의 잠재력을 요약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