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사전] 일측성 요관 폐쇄(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UUO) 모델

2023. 4. 12. 21:19카테고리 없음

728x90
반응형

출처: pixabay

 

 

오늘은 일측성 요관 폐쇄 모델에 관해 알아보자

 

 

# 일측성 요관 폐쇄 모델이 뭐야?

 

일측성 요관 폐쇄(UUO)는 비뇨기과 및 신장학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험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 신장에서 방광으로 소변을 운반하는 관인 두 개의 요관 중 하나는 외과적 또는 화학적으로 막힌 반면 다른 요관은 열려 있다. 이로 인해 영향을 받은 신장이 소변을 적절하게 배출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 소변이 축적되고

신장 내 압력이 증가한다.



이 폐색은 염증, 섬유증 및 세포 증식을 포함한 일련의 사건을 유발하여 궁극적으로 폐색된 신장의 구조적 및 기능적 변화로 이어진다. 이 모델은 수신증, 신장 섬유증 및 신장 기능 장애와 같은 다양한 신장 질환의 병태생리학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다.

UUO 모델은 설치류, 토끼, 돼지 등 다양한 동물 종에서 유도될 수 있으며, 결찰, 클리핑, 요관 폐쇄제 주입 등 다양한 기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해의 심각도와 기간도 연구 요구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UUO 모델은 신장 질환의 기본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잠재적인 치료 개입을 테스트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위 설명을 표현하자면 대략 이런 식이리라

 

일측성 요관 폐쇄(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UUO) 모델 모식도

 

 

 

 

이 모델을 사용한 연구 논문을 찾아 보자

 

 

 

 

Paclitaxel attenuates renal interstitial fibroblast activation and interstitial fibrosis by inhibiting STAT3 signaling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paclitaxel might inhibit renal fibrosis. However,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low-dose paclitaxel may block the STAT3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

www.ncbi.nlm.nih.gov

 

파클리탁셀(Paclitaxel)은 STAT3 신호를 억제하여 신장 간질 섬유아세포 활성화 및 간질 섬유증을 약화시킨다

 

이 논문의 초록을 살펴 보자.



최근 연구에서 파클리탁셀이 신장 섬유증을 억제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기본 분자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 저용량 파클리탁셀이 편측 요관 폐쇄가 있는 마우스 모델에서 섬유증을 약화시키는 STAT3(신호 변환기 및 전사 활성제 3)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NRK-49F 세포와 한쪽 요관 폐쇄가 있는 마우스 모두 파클리탁셀로 치료했다.

 

결과는 파클리탁셀 치료가

 

1) 티로신 인산화 STAT3의 용량 및 시간 의존적 감소를 초래하고

 

2) 배양된 NRK-49F 세포에서 피브로넥틴, 알파-평활근 액틴(α-SMA) 및 콜라겐 I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3) STAT3 억제제인 S3I-201도 배양된 NRK-49F 세포에서 피브로넥틴, α-SMA 및 콜라겐 I의 발현을 억제했다.

 

4) 기계적으로, 파클리탁셀 치료는 STAT3와 튜불린의 결합을 방해하고 STAT3 핵 전위를 억제함으로써 STAT3 활성을 차단했다.

 

5) 또한 파클리탁셀은 피브로넥틴, α-SMA, 콜라겐 I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여 신장 섬유증을 개선하고, 폐쇄성 신증에서 STAT3 활성 억제함으로써 대식세포의 침윤과 TNF-α, IL-1β, TGF-β, ICAM-1의 생성을 억제했다. 

 

이러한 결과는 파클리탁셀이 STAT3와 튜불린의 결합을 방해하고 STAT3의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STAT3 활성을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신장 간질 섬유아세포 활성화 및 신장 섬유증의 발달을 억제하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반응형